<p></p><br /><br />관련된 이야기, 정치부 이동은 기자와 자세히 짚어 봅니다. <br><br>1. 보기 드문 상황이 벌어졌습니다. 어떻게 경제 투톱을 동시에 교체하게 된 겁니까? <br><br>두 사람은 최저임금 인상, 고용문제 등에 대해서 생각이 다른 걸 숨기지 않았습니다. 지난 1년 반 동안 불협화음으로 인해 성과가 제대로 나지 못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.<br><br>그런데 둘 중 한 명만 먼저 경질하거나 할 경우 시장에 잘못된 시그널을 줄 수 있어 동시 교체를 선택한 것으로 보입니다.<br><br>김동연 부총리를 먼저 경질하면, 혁신성장을 상대적으로 등한시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올 수 있고, 장하성 정책실장을 앞서 경질하면 소득주도성장 정책의 방향을 수정하는 것 아니냐는 오해를 살 수 있기 때문입니다.<br><br>2. 오늘 인사에서 가장 관심 모은 인물 김수현 신임 정책실장입니다.문 대통령이 전문성 논란 알았을텐데 발탁 강행한 건 어떤 점 때문입니까? <br><br>자신을 가장 잘 아는 사람과 일하며, 반드시 성과를 내겠다는 의지를 보인 인사라고 생각됩니다.<br><br>문 대통령과 김수현 정책실장은 노무현 정부 시절부터 청와대에서 호흡을 맞춰왔습니다. <br><br>대선 때는 문재인 캠프에서 정부 정책의 밑그림을 그렸고 정부 출범 직후 청와대에 합류해 부동산, 탈원전 등 정책을 주도했습니다. <br><br>그만큼 문 대통령과는 호흡이 잘 맞다고 볼 수 있습니다.<br><br>한 청와대 관계자는 "문 대통령은 내가 함께 일할 사람은 내가 선택한다는 인식이 있다"고 말했습니다.<br><br>3. 그런데 김수현 신임 정책실장은 경제학을 전공하지 않았잖아요. 여권 내부에서도 이건 문제라는 지적이 있었죠?<br><br>네, 노무현 정부 초대 정책실장을 지낸 이정우 한국장학재단 이사장은 "김수현 수석은 경제를 전공하지 않아 정책실장은 곤란한다"고 했습니다.<br><br>김수현 실장 전공은 도시계획이고 쓴 책도 부동산에 관한 겁니다. 노무현 정부 때 종합부동산세 도입을 주도한 인물이기도 합니다.<br><br>하지만 청와대는 김수현 실장의 역할이 포용국가 전반을 아우르는 큰 그림을 그리는 것으로 규정해 업무하는데 문제가 없다는 설명입니다.<br><br>4. 그래도 홍남기 후보자가 기업인들과 접촉을 늘려서 기업인 입장을 경제 정책에 반영하겠다는 의지를 보였죠?<br><br>네, 홍 후보자는 "매주 혹은 격주로라도 기업인과 만나 점심이라도 함께 하겠다"고 했습니다.<br><br>홍 후보자가 얼마만큼 기업인의 목소리를 반영해줄 수 있을지는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. <br><br>5. 이번 인사로 한 가지 눈에 띄는 게 있다면 주요 경제기구 수장 에 강원도 출신이 전진 배치됐다는 점인 것 같아요?<br><br>네, 정부 수립 이후 최초로 3대 경제 기구 수장이 모두 강원도 출신으로 채워졌습니다.<br><br>홍남기 후보자는 춘천,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원주,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강릉 출신입니다.<br><br>정치부 이동은 기자였습니다.